요즘 들어 전세사기가 유행처럼 번져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가 가고 있다. 이를 뉴스나 기사 SNS에서도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전세를 살고 있는 사람들이나 이제 전세를 알아보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불안해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를 통해 MBC에서는 '전월세 실거래가 지도'페이지를 통하여 전국적으로 전월세 실거래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름바 깡통전세 감별기 페이지를 제작하였다. 오늘은 이 페이지의 특징과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깡통전세 감별기 이용방법
해당 페이지는 부동산 정보를 검색하는 데에 있어 간편한 페이지로 사람들이 검색한 지역의 전월세 시장의 움직임과 거래 가격을 참고하여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위 이미지를 클릭하여 해당 사이트로 입장할 수 있다.
깡통전세 감별기 페이지 이용방법은 아래와 같다.
- 위 페이지 접속 후, 원하는 지역과 단지를 검색하여 클릭한다
- 해당 검색 단지 내에 2022년 기준 평균 전세가율이 노출되고 평균 매매가와 평균 전세가가 표시된다
- 사이트를 밑으로 내리다 보면, 평균 전세가율 100% 이상 깡통전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몇 가지 주의사항을 공지하고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 본 자료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테이터를 기반으로 한국도시연구소와 함께 분석한 자요임을 알려드립니다. 동일 평형대 매매가와 전세가가 연계되지 않은 단지는 검색 화면에서 조회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증여 목적 거래 등으로 통계가 왜곡될 수 있으니 참고용을 활용하고, 전세가율이 낮더라도 다른 선순위 채권등이 있을 수 있으니 임대차 거래 시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 2023년 상반기 이후 전세가율 데이터도 향후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전세가율이란?
전세가율이란 매매가와 전세가이 비율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부동산 시작의 기초적인 상황을 확인하는 데 사용한다. 전세가율이 높아지면 전세의 수요가 증가하고 부동산 가격 상승에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전세가율이 낮아지면 부동산 가격이 높아지는 경향이 포착되고 있다. 전세가율을 지역과 시기등을 기점으로 항상 변동되며 지금과 같은 깡통전세 위험이 있을 때도 변동이 심하니 여러 가지의 항목을 체크하여 알아봐야 한다.
깡통전세 보증보험 가입 불가
이번 5월 1일부터 전셋값이 매매가의 90% 이하인 주택만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조정되었다. 해당 보험의 가입 기준이 까다로워졌고,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가입의 문턱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은 전세계약 종료 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반환해야 하는 전세보증금 반환을 책임지는 보증상품이다. 이를 위해 보증보험 가입 요건이 강화되었으며, 보증보험 가입이 까다로워지면 깡통전세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임대보증금보증(임대보증)의 가입 요건도 전세가율 90%로 강화될 예정이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HD ETF 배당금 투자 배당일 성장주 알아보기 (0) | 2023.05.08 |
---|---|
S&P500 ETF 정리 국내상장 해외상장 10년 수익률 (0) | 2023.05.06 |
운동 없이 단기간 다이어트 3가지! 일주일 5kg (0) | 2023.05.05 |
2023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미신고 불이익 알아보기 (0) | 2023.05.03 |
청년내일저축계좌 알아보기 (0) | 2023.05.03 |
댓글